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as
- apache
- nmcli
- RHEL
- OS
- fdisk
- 백업
- client
- Veritas
- 본딩
- 브리지
- network
- VG
- bonding
- 이중화
- 네트워크
- 설치
- 넷백업
- 레드햇
- backup
- tomcat
- MariaDB
- 백업구성
- 리눅스
- web/was
- Linux
- NFS
- 소스설치
- Redhat
- Netbackup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
컴터둥이

▶ NFS (Network File System) 의 개념 -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내 컴퓨터의 하드처럼 사용하는 것- 네트워크에 연결된 리눅스끼리 NFS를 통해 파일 공유 가능-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 있으면 각 컴퓨터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서버 1개에만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사용 가능 ▶ NFS 서버 설정 ( exports ) [ Test version ]OS version : RHEL 8.4NFS 서버 IP (hostname) : 192.168.70.100 (master)NFS 클라이언트 서버 IP (hostname) : 192.168.70.110 (client) 1. NFS 패키지 설치 진행dnf install nfs-utils 2. NFS 서버 서비스 관련..

▶ 본딩(Bonding) 의 개념 및 기능 1) 본딩 (Bonding) 이란 ? 여러 개의 물리적 또는 가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결합하는 기술 2) 본딩의 기능 - 서버의 대역폭을 확장할 수 있음 - 서버의 기능을 분산할 수 있는 부하 분산(Load Balancing)이 가능함 - 부분적으로 장애가 발생해도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음 3) 본딩 모드 종류 모드 종류 기능 mode 0 : Round-robin 부하 분산과 failover를 제공하며, 첫번째부터 마지막까지 순차적으로 NIC에 트래픽을 분산시켜 전송하는 모드 mode 1 : Active-backup 1개의 NIC만 활성화되며, 다른 NIC는 현 활성화된 NIC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활성화 ..

▶ 계정 로그인 및 데몬 비활성화 1. root 계정 로그인- GUI 로 설치한 경우, root 계정은 화면에 보이지 않아 아래와 같이 [ Not listed ? ]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진행* Ctrl + Alt + F2 : GUI 모드로 변환* Ctrl + Alt + F3 : CLI 모드로 변환 2. 불필요한 데몬(Daemon) 비활성화- 불필요한 데몬인 firewalld, libvirtd, postfix 를 disable 상태로 변경하여 비활성화systemctl disable --now firewalld # OS 자체 방화벽 데몬systemctl disable --now libvirtd # 가상화 관련 데몬systemctl disable --now postfix # 메일 서버 관련 데몬 ▶ L..

▶ OS 설치 [ Test version ]OS version : RHEL 8.4 1. 설치 시작- [ Install Red Hat Enterprise Linux 8.4 ] 선택 2. 메인 언어 및 기본 환경 선택- 언어 선택- Language Support : 한국어 추가 (선택 사항)- Time & Date : Asia/Seoul, KST- Software Selection : [ Server with GUI ] or [ Minimal Install ] 선택3. 설치 목적지 선택 (파티셔닝)- [ Installation Destination ] 선택- [ Storage Configuration] - [ Custom ] 선택 후 Done 클릭- [ + ]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셔닝 진행 후 Done 클..

▶ NTP 및 Chrony - NTP(Network Time Protocol) :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된 장비의 시스템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한 프로토콜 - Chrony : 기존 NTP 단점을 보완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동기화 할 수 있도록 구현 및 개선한 프로토콜 * RHEL 8부터는 기본 타임서버 tool이 NTP 에서 Chrony로 대체됨 ▶ Chrony를 이용한 NTP 서버 구축 [ Test version ]OS version : RHEL 8.4 1. chrony 패키지 설치dnf install chrony2. chrony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sudo systemctl start chronydsudo systemctl enable chronydsudo systemctl status chrony..

▶ Netbackup Administration Console - NetBackup 의 기능을 명령어 없이 UI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 - Netbackup 관리 콘솔에서는 Netbackup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구성과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Policy 구성, 백업 현황 확인 등 전체적인 작업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음 [ NetBackup 관리 콘솔 로그인 방법 ] 1. 사용하고자 하는 NetBackup 버전의 관리 콘솔을 우클릭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Master 서버의 Hostname, Username, Password를 입력하여 실행 * Hostaname으로 로그인 시, hosts 파일에 Master 서버의 정보가 들어있어야 함 ! 3. 로그인 후 초기 화면 ▶ Policy -..

FTP (File Transter Protocol) -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로, 인터넷을 통한 파일 송수신 만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 www 방식보다 빠른 속도로 파일을 한꺼번에 주고받을 수 있지만, 보안이 좋지 않아 실무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 - 20번 port (데이터 전달) , 21번 port (응답 등의 제어 정보 전달) 를 사용함 SFTP (Secure File Transter Protocol) - 파일 전송에 사용하는 FTP + 암호화 (SSH) 개념이 추가된 프로토콜 - 안전화된 암호화 구간에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네트워크 레벨에서 정보 유출을 방지함 - 데이터 전송 시 계정 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해킹이나 보안 상의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 - 22번 p..

▶ 사전 준비 사항 1. client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vi 편집기를 통해 /etc/hosts 파일 열기 2. Client 서버가 될 자기 자신과 Master 서버의 ip 및 hostname 입력 ★ 반대로 Master 서버에도 똑같이 자기 자신의 ip와 client 서버의 ip 및 hostname 입력해야 함 => 왜냐 ? Netbackup 서비스는 hosts 연결을 통해 통신 및 백업을 진행하기 때문 ! # vi /etc/hosts ▶ Client 서버 설치 - UNIX 및 Linux 시스템에 Netbackup Client 설치 진행 [ Test version ] Master server : NetBackup 9.1.0.1 Client server : NetBackup 9.1.0.1 * 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