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lient
- NFS
- tomcat
- backup
- 본딩
- 브리지
- 리눅스
- nmcli
- RHEL
- 네트워크
- Netbackup
- bonding
- Veritas
- MariaDB
- Redhat
- 백업
- 설치
- 넷백업
- VG
- apache
- Linux
- 소스설치
- network
- 이중화
- was
- 레드햇
- OS
- 백업구성
- web/was
- fdisk
- Today
- Total
목록RHEL (2)
컴터둥이

▶ LVM 이란 ? - 말 그대로 논리적인 볼륜 관리자라는 뜻으로,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디스크로 할당하여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음 -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 ->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 or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 -> 여러 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사용 가능 * LVM vs 일반 Disk partitioning LVM 일반 Disk partitioning - 저장 공간의 확장, 변경에 용이함 - 크기 변경 시 기존 데이터 이전할 필요 없음 - OS 영역에 직접 접근하여 read/write 수행해야 함 - 저장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어서 증설/축소 어려움 ▶ LVM 의 주요 용어 1) PV(Physical Volume, 물리적 볼륨) - 실제 물리적 디스크 장치를 분할한 파티션들을 LVM에서 사용할 수 ..

▶ OS 설치 [ Test version ]OS version : RHEL 8.4 1. 설치 시작- [ Install Red Hat Enterprise Linux 8.4 ] 선택 2. 메인 언어 및 기본 환경 선택- 언어 선택- Language Support : 한국어 추가 (선택 사항)- Time & Date : Asia/Seoul, KST- Software Selection : [ Server with GUI ] or [ Minimal Install ] 선택3. 설치 목적지 선택 (파티셔닝)- [ Installation Destination ] 선택- [ Storage Configuration] - [ Custom ] 선택 후 Done 클릭- [ + ]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셔닝 진행 후 Done 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