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Veritas
- NFS
- 설치
- bonding
- 리눅스
- web/was
- network
- Linux
- 네트워크
- RHEL
- fdisk
- 레드햇
- MariaDB
- VG
- 본딩
- 소스설치
- was
- 백업구성
- 넷백업
- Redhat
- 브리지
- 이중화
- OS
- backup
- client
- nmcli
- 백업
- Netbackup
- apache
- tomcat
Archives
- Today
- Total
컴터둥이
[Linux] RHEL 8.X Chrony를 이용한 시간 동기화 설정 본문
▶ NTP 및 Chrony
- NTP(Network Time Protocol) :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된 장비의 시스템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한 프로토콜
- Chrony : 기존 NTP 단점을 보완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동기화 할 수 있도록 구현 및 개선한 프로토콜
* RHEL 8부터는 기본 타임서버 tool이 NTP 에서 Chrony로 대체됨
▶ Chrony를 이용한 NTP 서버 구축
[ Test version ]
OS version : RHEL 8.4
1. chrony 패키지 설치
dnf install chrony

2. chrony 서비스 시작 및 활성화
sudo systemctl start chronyd
sudo systemctl enable chronyd
sudo systemctl status chronyd # 활성화 확인

3. chrony.conf 파일 수정
- 대한민국 표준시로 동기화 할 수 있는 public 서버 설정
vi /etc/chrony.conf
# public 서버
server time.bora.net iburst
server ntp2.kornet.net iburst
server time.nuri.net iburst

- 엑세스 가능한 IP 대역 및 subnet 추가

4. chrony 서비스 재시작 및 동기화 확인
systemctl restart chronyd # chrony 서비스 재시작
chronyc sources # 동기화 여부 확인

* 여기서 아무것도 뜨지 않는 것은 동기화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 및 구성 방법 (3) | 2023.10.19 |
---|---|
[Linux] NFS 설정 및 주요 옵션 정리 (2) | 2023.10.18 |
[Linux]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의 개념 및 구성 (1) | 2023.10.18 |
[Linux]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8.X 설치 및 설정 (2) (0) | 2023.10.18 |
[Linux]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8.X 설치 및 설정 (1)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