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HEL
- 넷백업
- 브리지
- 백업
- backup
- Redhat
- network
- Netbackup
- NFS
- 네트워크
- VG
- OS
- 본딩
- Linux
- 리눅스
- web/was
- tomcat
- 백업구성
- 설치
- client
- apache
- Veritas
- 소스설치
- bonding
- 레드햇
- was
- nmcli
- 이중화
- MariaDB
- fdisk
Archives
- Today
- Total
컴터둥이
[Linux] NFS 설정 및 주요 옵션 정리 본문
▶ NFS (Network File System) 의 개념
-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내 컴퓨터의 하드처럼 사용하는 것
- 네트워크에 연결된 리눅스끼리 NFS를 통해 파일 공유 가능
-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 있으면 각 컴퓨터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서버 1개에만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공간 사용 가능
▶ NFS 서버 설정 ( exports )
[ Test version ]
OS version : RHEL 8.4
NFS 서버 IP (hostname) : 192.168.70.100 (master)
NFS 클라이언트 서버 IP (hostname) : 192.168.70.110 (client)
1. NFS 패키지 설치 진행
dnf install nfs-utils
2. NFS 서버 서비스 관련 데몬 기동 및 재부팅 시 자동 활성화
# nfs 서비스 활성화
systemctl start nfs-server
systemctl enable nfs-server
# 관련 데몬 rpcbind 활성화 (보통 nfs 서비스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긴 함)
systemctl start rpcbind
systemctl enable rpcbind
3. exports 할 파일 설정
# nfs 서버용 디렉토리 생성
mkdir /nfsdir
vi /etc/exports # NFS 환경설정 파일 수정
# [공유할 디렉토리] [허가할 호스트](디렉토리 권한)
exportfs -r # 수정내용 반영
* NFS 환경설정 파일 옵션 ( /etc/exports )
옵션 코드 | 설명 |
ro / rw | read only / read write |
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접근하는 root 무시 -> 서버 상의 nobody로 매핑됨 (default) |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접근하는 root 허용 |
secure | 클라이언트 마운트 요청 시 포트 번호가 1024 이하인 경우만 허가 |
noaccess | 액세스 거부 |
sync | 파일 시스템이 변경되면 즉시 동기화 |
4. 방화벽 허가
- 방화벽인 firewalld가 실행 중일 시, nfs 서비스 허가로 방화벽 설정 (테스트 진행했을 때는 firewalld 비활성화함)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nfs
firewall-cmd --reload
firewall-cmd --list-all
5. NFS 서버 구성 확인
showmount -e [ip] # NFS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의 공유된 정보 확인
exportfs -v # NFS 서버에서 외부에 공유된 내용 자세히 출력
▶ NFS 클라이언트 서버 설정 ( import )
1. NFS 패키지 설치 진행
dnf install nfs-utils
2. NFS 서버 서비스 관련 데몬 기동 및 재부팅 시 자동 활성화
# nfs 서비스 활성화
systemctl start nfs-server
systemctl enable nfs-server
# 관련 데몬 rpcbind 활성화 (보통 nfs 서비스 활성화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긴 함)
systemctl start rpcbind
systemctl enable rpcbind
3. imports 할 파일 설정
mkdir /nfsclient # NFS 클라이언트 서버용 디렉토리 생성
showmount -e [ NFS 서버 ip ] # NFS 서버 공유 디렉토리 확인
# 마운트 진행
mount -t nfs [서버_IP]:/[서버_공유_디렉터리] /[클라이언트_마운트할_경로]
4. fstab 등록
- 재부팅 시 자동 마운트되도록 /etc/fstab 파일에 등록해야 함
vi /etc/fstab
ex) 192.168.70.100:/nfsdir /nfsclient nfs defaults 0 0
5. 마운트 확인 ( df -TH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DNS 서버 구축 및 이중화 구성 (Master & Slave) (0) | 2024.06.24 |
---|---|
[Linux]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개념 및 구성 방법 (0) | 2023.10.19 |
[Linux]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의 개념 및 구성 (1) | 2023.10.18 |
[Linux]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8.X 설치 및 설정 (2) (0) | 2023.10.18 |
[Linux]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8.X 설치 및 설정 (1)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