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eb/was
- nmcli
- apache
- 리눅스
- 소스설치
- 본딩
- client
- OS
- NFS
- backup
- 네트워크
- fdisk
- Redhat
- Netbackup
- bonding
- network
- Veritas
- VG
- 백업구성
- was
- 설치
- 백업
- 넷백업
- RHEL
- MariaDB
- Linux
- 이중화
- tomcat
- 브리지
- 레드햇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
컴터둥이

▶ Tomcat - MariaDB 연동 ☞ 현재 WEB(Apache) 서버 + WAS(Tomcat)/DB(MariaDB) 서버와 같이 2Tier 구조로 구축 진행 1. MariaDB JDBC Driver 다운로드 - 아래 경로에서 Java 8+ Connector 경로 복사https://mariadb.com/downloads/connectors/connectors-data-access/java8-connector Download MariaDB Connectors for data access & streaming | MariaDBDownload MariaDB connectors for high-performance data access & data streaming. MariaDB connectors i..

▶ MariaDB 설치 1. MariaDB dnf Repository 추가 - 아래 경로에서 MariaDB 설치를 위한 서버 OS에 맞는 repository 확인 가능https://mariadb.org/download/?t=repo-config Download MariaDB Server - MariaDB.orgREST API Release Schedule Reporting Bugs … Continue reading "Download MariaDB Server"mariadb.org- 아래와 같이 Repository 항목 확인 후 복사하여 사용vi /etc/yum.repos.d/mariaDB.repo # repository 항목 작성[mariadb]name = MariaDBbaseurl = https://t..

▶ WEB(Apache) 서버와 WAS(Tomcat) 서버를 분리해서 연동하는 이유 ? => Tomcat도 웹서버 기능이 있지만, 정적/동적 데이터를 Tomcat이 모두 처리하기엔 Apache보다 느린 처리 속도를 보임=> 정적 데이터는 WEB(Apache), 동적 데이터는 WAS(Tomcat)가 처리하여 서버의 전체적인 부하 분산 및 속도 향상 가능 ▶ WEB - WAS 연동 테스트 서버 IP 변경으로, 아래와 같이 진행HJ-WEB : 192.168.111.174HJ-WAS : 192.168.111.175 1. Tomcat Connector 소스 트리 구성 및 소스 설치 (web) - Tomcat Connector는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함https://tomcat.apache.org/dow..

▶ Tomcat 소스 설치 1. Tomcat Binary 파일 다운로드wget https://dlcdn.apache.org/tomcat/tomcat-9/v9.0.89/bin/apache-tomcat-9.0.91.tar.gz2. Tomcat Binary 압축 해제 및 이동tar -zxvf apache-tomcat-9.0.91.tar.gzmkdir /app # Tomcat 엔진을 운영할 디렉토리 생성mv apache-tomcat-9.0.89 /app/tomcat93. Tomcat Shutdown Port, Container Port, Redirect Port 설정vi /app/tomcat9/conf/server.xml- Shutdown Port 설정- Container Port, Redirect Port ..

▶ 소스 설치 (컴파일 설치)를 하는 이유 ? => 보다 세부적인 구성과 제어에 유용하기 때문=> 필요한 패키지만 웹을 통해 압축 파일을 다운받아 시스템의 자원 관리 가능▶ Apache 소스 설치 (컴파일 설치) 1. Apache 유저 생성useradd -s /sbin/nologin apache 2. 설치 디렉토리 생성 및 컴파일 설치를 위한 rpm 설치dnf install expat-devel gcc-c++ gcc openssl-devel openldap-devel zlib-devel pcre-devel make wget 3. 소스 설치를 위한 사전 파일 준비1) http : Apache 엔진 2) apr, apr-util : Apache에 필요한 라이브러리3) pcre : 정규식 패턴 일치를 구현..

▶ 허브 (HUB) -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 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대의 장비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비- 신호를 멀리 보내기 위한 증폭 장치인 리피터 (Repeater) 역할을 하며, 기존 리피터와는 다르게 여러 장비 연결 가능* 허브의 한계 ? - 하나의 PC가 허브에 데이터를 보내고 있을 때 또 다른 PC가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콜리전 발생 => 하나의 PC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 ......- 허브에 붙어있는 하나의 PC에서 콜리전 발생 시, 모든 PC가 영향을 받음 (CMSA/CD의 적용)-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PC들은 모두 '같은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에 있다' 라고 할 수 있음- 허브를 계속 연결할수록 콜리전 도메인의 크..

▶ DNS (Domain Name Server) 란 ? 'google.com' 또는 'naver.com' 과 같이 웹사이트를 엑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고유하면서도 기억하기 쉬운 주소인 도메인 이름을 네트워크에서 서로를 식별하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로 변환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 Master & Slave - Master & Slave 는 주, 보조 관계이며 동기화를 통해 DNS 서버를 이중화함 ( Slave 서버는 여러개 사용 가능 )- 데이터가 동기화되는 것은 Master 서버에서 관리하는 zone database에서만 가능 * DNS는 이중화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ctive-Standby 또는 Active-Active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동기화 과정..

▶ LVM 이란 ? - 말 그대로 논리적인 볼륜 관리자라는 뜻으로,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디스크로 할당하여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음 -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 ->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 or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 -> 여러 개의 논리적 디스크로 사용 가능 * LVM vs 일반 Disk partitioning LVM 일반 Disk partitioning - 저장 공간의 확장, 변경에 용이함 - 크기 변경 시 기존 데이터 이전할 필요 없음 - OS 영역에 직접 접근하여 read/write 수행해야 함 - 저장 공간의 크기가 고정되어서 증설/축소 어려움 ▶ LVM 의 주요 용어 1) PV(Physical Volume, 물리적 볼륨) - 실제 물리적 디스크 장치를 분할한 파티션들을 LVM에서 사용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