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터둥이

네트워크 장비 비교 -허브(HUB),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본문

Network

네트워크 장비 비교 -허브(HUB),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현또다 2024. 7. 5. 13:31

▶ 허브 (HUB)  

-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LAN의 전송 거리를 연장시키고, 여러 대의 장비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만들어주는 장비

- 신호를 멀리 보내기 위한 증폭 장치인 리피터 (Repeater) 역할을 하며, 기존 리피터와는 다르게 여러 장비 연결 가능

* 허브의 한계 ?

< PC 1은 PC 3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지만, 허브는 데이터가 들어온 PC 1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함 >

 

- 하나의 PC가 허브에 데이터를 보내고 있을 때 또 다른 PC가 데이터를 보내려고 하면 콜리전 발생
    => 하나의 PC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 ......

- 허브에 붙어있는 하나의 PC에서 콜리전 발생 시, 모든 PC가 영향을 받음 (CMSA/CD의 적용)

- 같은 허브에 연결되어 있는 PC들은 모두 '같은 콜리전 도메인(Collision Domain)에 있다' 라고 할 수 있음

- 허브를 계속 연결할수록 콜리전 도메인의 크기는 점점 커짐 => 영향을 받는 PC가 많아지면서 통신 속도 점점 떨어짐

 


▶ 브리지(Bridge) / 스위치 (Switch)  

- 허브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콜리전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

- 네트워크 세그먼트(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작은 네트워크 집합)를 서로 연결해주는 장치

* 브리지와 스위치의 차이점

차이점 브리지 스위치
처리 방식 하드웨어 (상대적 느림) 소프트웨어 (상대적 빠름)
포트 속도 모두 같은 속도 지원  서로 다른 속도 연결 가능
포트 개수 몇십 또는 몇백개까지 가능 대부분 2~3개 (최대 10개 미만)
프레임 처리 속도 상대적 느림 상대적 빠름

 


▶ 라우터 (Rou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최적의 경로를 찾아 데이터 패킷 전송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장비

- 스위치의 한계점인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

*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점

차이점 스위치 라우터
OSI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 기반)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 기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존재
(서로 다른 대역 구분 X)
모든 포트에 자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존재
(서로 다른 대역 구분 O)
불분명한 데이터 처리 모든 포트로 데이터 퍼트림 (브로드캐스트) 해당 데이터 버림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 SFTP 의 정의 및 비교  (1)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