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up/백업 기초 지식
백업(Backup) 이란 ?
현또다
2023. 8. 2. 16:02
백업의 정의
- 시스템의 장애나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여 일정 간격으로 데이터를 별도의 매체에 저장해두는 것
- 백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경우, 사고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해도 원하는 시점으로의 데이터 복구가 가능함
백업의 분류
- 백업의 종류 : 운영체제(OS) 백업, 파일 시스템(F/S) 백업, 데이터베이스(DB) 백업 등
- 백업 연결 방식 : Local 백업, Network 백업, SAN 백업 등
- 백업 데이터 저장 장치 : Disk, VTL, Tape 등
구 분 | 백업 분류 | 내 용 |
백업 대상 별 | OS 백업 | OS 파일 시스템 (OS, Parameter, Log) |
파일시스템 백업 | OS, DB 영역을 제외한 일반 파일 시스템 | |
DB 백업 | DB ( Control, Archive, Database) | |
구성 방식 별 | Local 백업 | 백업 대상과 백업 장치가 직접 연결된 구성 (백업 저장이 Local disk로 되는 경우) |
Network 백업 | 네트워크(LAN)을 통한 데이터 백업 구성 | |
SAN 백업 | FC 환경을 통한 데이터 백업 구성 | |
저장 매체 별 | Disk 백업 | Disk 드라이브 및 Disk 스토리지 저장 매체 |
VTL 백업 | 디스크를 테이프로 가상화시킨 저장 매체 | |
Tape 백업 | DLT, LTO 등의 드라이브를 통한 테이프 저장 매체 |
Restore(복원)와 Recovery(복구)의 차이
* RPO (Recovery Point Object) : 데이터 복구 관점에서의 목표 복구 관점
* RTO (Recovery Time Object) : 데이터 복구 관점에서의 목표 복구 시간
Restore(복원)가 백업 Copy로부터 데이터를 원래 위치로 위치시키는 작업이라면, Recovery(복구)는 복원 작업에서 추가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대상(H/W, OS, DB 등)을 원상태로 돌려 서비스 재개가 가능하도록 수행하는 작업
즉, Restore(복원)는 Recovery(복구)의 일부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