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Linux]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8.X 설치 및 설정 (2)

현또다 2023. 10. 18. 09:34

▶ 계정 로그인  및 데몬 비활성화 

1. root 계정 로그인

- GUI 로 설치한 경우, root 계정은 화면에 보이지 않아 아래와 같이 [ Not listed ? ]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 진행

* Ctrl + Alt + F2 : GUI 모드로 변환

* Ctrl + Alt + F3 : CLI 모드로 변환

 

2. 불필요한 데몬(Daemon) 비활성화

- 불필요한 데몬인 firewalld, libvirtd, postfix disable 상태로 변경하여 비활성화

systemctl disable --now firewalld	# OS 자체 방화벽 데몬
systemctl disable --now libvirtd	# 가상화 관련 데몬
systemctl disable --now postfix		# 메일 서버 관련 데몬

 

▶ Local Repository 생성 

* Repository 가 필요한 이유 ?

- 보안 정책 등으로 인해 외부 인터넷이 차단된 서버를 운영할 경우, 신규 패키지 설치나 업데이트를 위해 rpm 파일을 업로드해도 의존성에 의해 관리가 매우 까다로움

- 이를 위해 ISO 이미지로 local 이나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yum 저장소를 만들어 사용함

 

1.  마운트(mount) 진행

- sr0 디스크를 /mnt 디렉토리에 연결하여 마운트

mount dev/sr0 /mnt

* 마운트(mount) :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장치를 리눅스 안의 특정 위치, 즉 디렉리에 연결시켜주는 작업

(리눅스는 window에서 USB 꼽으면 파일이 자동 연결되는 것처럼 디렉터리 연결 X)

 

2.  패키지 복사

- /root 아래에 iso 하위 디렉토리 생성 후 /mnt 전체 copy

mkdir /root/iso
cp –a /mnt/* /root/iso		# -a 옵션 : 원본 파일의 속성, 링크 정보까지 모두 복사

 

3.  local repo 수동 추가

- local repository를 수동 추가하기 위해 vi /etc/yum.repos.d/local.repo 에서 이름, 주소, 서명 키 등 저장소 관련  내용 추가

* RHEL 8.X는 패키지가 2개의저장소(AppStream, BaseOS)로 분리되어 있어서 2개 작성 필요 !

vi /etc/yum.repos.d/local.repo		# repo 정보 설정 파일 생성

dnf clean all		# 캐시 삭제
dnf repolist all	# repository 모두 확인
dnf repolist -v4	# repository 자세히 확인

 

▶ SELinux 비활성화 

* SELinux 란 ?

=> 관리자가 시스템 액세스 권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Linux 시스템용 보안 아키텍처로, 보안 정책으로 인해 솔루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어 내리고 시작하는 것을 권고함

 

- SELinux 비활성화 후 변경 사항 적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reboot 해야 함

vi /etc/selinux/config		# selinux 설정 파일 열기
reboot				# 재부팅

 

▶ Hostname 변경 

- hostnamectl 명령어를 통해 hostname 변경

# hostnamectl set-hostname [hostname명]		# hostname 변경
# hostnamectl					# 변경 확인

 

▶ Network 구성 

1. ip 확인

- ip 명령어를 통해 ip의 상태가 up이 되어있는지 확인

2. nmcli 를 이용한 정적(Static) ip 설정

- nmcli 명령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ip 설정

nmcli con mod [이더넷명] ipv4.method manual ipv4.addresses [ip 주소]/[subnet] ipv4.gateway [gateway 주소] autoconnect yes
ex) nmcli con mod enp0s3 ipv4.method manual ipv4.addresses 192.168.56.100/24 ipv4.gateway 192.168.56.1 autoconnect yes

- NetworkManager 데몬의 변경 사항이 적용될 수 있도록 reload한 후 device 활성화

nmcli con reload
nmcli con up [이더넷명]

3. ip 설정 확인

- ip 명령어과 ping 테스트를 통해 설정 확인